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98

크루즈 문화의 태동 1802년 스코틀랜드에서 증기 기관을 이용한 최초의 실용적인 기선 '샬럿 던대스호'가 시운전에 성공했 다. 이 소식은 발명가나 뱃사람들에게 화제가 되었고, 이제 바람이 아닌 기계의 힘에 의해 움직이는 여 객선이 나타나는 것은 시간 문제였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기계 동력에 의한 배를 실험해 오고 있던 터 라 영국에서의 시운전 성공은 커다란 자극제가 되었다. 미국의 로버트 풀턴(1765∼1815)도 기선에 관심 을 가진 사람 중의 한 명이었다. 1794년 화가로서의 실패를 인정한 풀턴은 운하 공학으로 관심을 돌렸 는데, 그는 특히 잠수함에 관심이 많았다. 1797년 파리로 건너간 그는 영국과의 전쟁에서 영국 전투함의 선체 밑으로 서행해 시한 폭탄을 설치할 수 있는 잠수함 '노틸러스호'의 제작을 제안했으나,.. 2020. 8. 26.
생활 예술의 대명사, 자수 자수는 본래, 의복의 솔기(옷의 두 폭을 맞대고 꿰맨 줄)를 아름답게 꾸미거나 천을 보강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점차 장식에 중점을 두게 되면서 그리스, 로마, 이슬람, 중국 등과 같은 세 계 각지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비잔틴 제국과 시칠리아가 자수의 중심 지로 자리잡았으며, 교회 제단을 장식하는 천이나 교황, 황제의 예식복 등의 자수가 이 지방의 전문적인 공방에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점차 유럽 각지에서 제 나름의 자수 기술이 발달하였고, 자수 무늬도 예술 의 수준에까지 육박했다. 13∼14세기는 종교를 주제로 한 영국 자수의 전성 시대로, 작품의 대부분이 성 경 내용을 표현한 것이었다. 16세기에 이르러 샘플러(견본자수)가 탄생함에 따라, 자수 문화는 새로.. 2020. 8. 26.
웃지 않으려 해도 웃게 만드는 가스 웃음 가스는 여러 가지 질소 산화물 중의 하나로, 화학식은 N2O이다. 이 가스는 흡입하면 미약한 히 스테리 증상이 나타나 고통에 대해 무감각하게 되고 때때로 웃음까지 유발하므로 '웃음 가스'라는 별명 이 붙었다. 웃음 가스는 1772년 영국 화학자 조지프 프리스틀리가 발견했고, 후에 다른 영국 화학자 험 프리 데이비가 '아산화질소'라고 정식 학명을 명명했으며 생리학적 효과도 증명했다. 아산화질소의 주요 용도는 단시간 실시하는 외과 수술에 국한된 것인데, 장시간 흡입하면 사망한다. 하지만 아산화질소는 발견 초기 의학용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단순한 놀이 도구로 쓰였다. 사람들은 처음에 호기심으로 아 산화질소를 마셨다. 웃지 않으려 해도 웃게 만드는 가스가 마치 마술처럼 여겨졌기 때문이다. 가스를 마 시는.. 2020. 8. 26.
스포츠와 섹스의 상관 관계 학교 교육 과정에 체육이 채택된 것은 영국인 특유의 보수적 정서 때문이었다. 산업 혁명과 광대한 식민지 경영에 의해서 강대국이 된 19세기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영국 사회에는 사치와 향락 풍조가 만 연하였다. 이런 환경은 특히 청소년의 성적 조숙을 유발했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스포츠 진흥이다. 중 학생 기숙사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취침 전에 반드시 500미터 트랙을 두세 차례 달리게 한 후 더운 목 욕탕에 들여 보내 심신을 녹초로 만든 다음 취침시켰다. 또한 자위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두손을 반드 시 이불 위에 내놓고 자도록 했다. 요컨대 철저하게 육체를 피로케 함으로써 성적 욕망을 감퇴시키려 했던 것이다. 도구나 당시 교육 풍토는 강건한 신체를 중요시했던 스파르타식 교육이 높이 찬양되었던 시기라 이러.. 2020. 8. 25.
수학여행의 유래 18∼19세기의 귀족들은 자기 아들들을 외국에 보내 1∼2년 여행하도록 했다. 교육의 마지막 단계로 행해진 이 여행은 이른바 '유럽 대륙 순회 여행(Grand Tour)으로 불렸다. 가정 교사와 함께 여행하면서 젊은이는 어학 실력을 향상시키고 유럽 대륙의 문화를 흡수한 뒤, 성숙한 인간이 되어 귀국했다. 오늘 날 학교에서 단체로 떠나는 수학 여행은 여기에서 유래한 관행이다. 유럽 대륙 여행은 이론보다는 경험 을 바탕으로 한 현실을 중시하는 영국인 특유의 가치관에 의해서 탄생했지만, 그 유래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로마의 지식층은 여행이 교육적이란 사실을 알고 여행하기를 즐겼는데, 18∼19세기의 영 국 귀족들도 역시 그렇게 생각했던 것이다. 영국인들은 특히 유적지 여행을 좋아해 그리스, 로마, .. 2020. 8. 25.
'너저분한 악기' 피아노 피아노는 1709년 이탈리아 악기 제조공 크리스토포리가 당시 건반 악기로 위세를 떨치던 '하프시코드' 와 '클라비코드'의 단점을 개량하여 만든 악기다. 소리의 강약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탈리아어로 '피아노 에 포르테'(약하고 강하게)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것이 그대로 '피아노'라는 악기 이름으로 굳 어졌다. 정식 이름은 피아노포르테이다. 88개의 건반을 가지고 있는 피아노는 음량이 풍부하고 셈여림의 변화를 조정하기 쉬우며 여러 가지의 음을 동시에 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때문에 화성 악기의 기 능과 선율 악기의 기능을 둘 다 가지며, 독주용뿐만 아니라 반주용으로도 쓰인다. 하지만 피아노는 탄생 초기 사람들로부터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다. 많은 음악가들은 '너저분한 악기'라고 비난했으며, '.. 2020.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