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98

연두부김치탕 (264Kcal) 준비에서 조리까지 30분 (재료) * 연두부 4모 쇠고기 120g 배추김치 200g 팽나무버섯 1봉지 다진 마늘 1/2 큰술 다진 파 2큰술 진간장, 찬기름 1작은술씩 깨소금 1작은술 후춧가루 1/3 작은술, 소금 * 식물성 기름 1큰술 육수 3컵 단백질이 풍부한 연두부는 두부와는 달리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므로 입맛이 없기 쉬운 아침, 한끼 식사로 바람직하다 연두부탕에는 연두부 외에도 쇠고기와 김치, 팽나무 버섯이 들어가므로 탕 한그릇으로도 영양이 풍부한 식사를 할 수 있다 후식으로 과일과 우유를 곁들여 비타민과 칼슘을 보충한다 두부나 콩가루, 청국장 같은 콩 종류는 질이 좋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고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 주는 건강식품이다 * 준비와 손질 연두부:1Cm 간격의 바둑판 모양으로 끝이 떨어.. 2020. 10. 1.
멸치 감자 풋고추 조림 (138Kcal) 준비에서 조리까지 20분 (재료) * 중멸치(조림용) 1컵 감자 2개 꽈리고추 1컵 * 진간장 2큰술 물엿 1큰술 소금 1/2 작은술 * 식물성 기름 약간 통깨 2작은술 멸치 감자 풋고추조림은 만드는 방법이 복잡하지 않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지만 감자가 부서지지 않고 멸치도 딱딱하지 않으며 풋고추도 색이 변하지 않도록 푸른색을 잘 살리면서 조려야 한다 색이 노릇노릇하고 윤기가 나게 조리려면 설탕 대신 물엿을 넣고, 수분이 많으면 상하기 쉬우므로 국물이 거의 없을 정도로 조린다 * 준비와 손질 멸치:크기가 중간 정도인 멸치를 골라 머리와 다른 지저분한 것을 다듬는다 큰 멸치는 국물을 내는 데 좋고 잔멸치는 멸치만을 볶을 때 많이 사용한다 멸치를 눅눅하게 하지 않고 특유의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서는 냄비에 .. 2020. 9. 30.
아침마다 달걀 한개, 매끼마다 채소반찬 몸의 컨디션은 대개의 경우 식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그러므로 한 가족의 식사를 책임지는 주부라면 어떤 음식을 얼마만큼 먹으면 좋은가 계획을 세워서 음식을 마련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하루의 영양섭취량을 세끼에 고루 안배한다 식단을 짤 때는 한 가족의 하루 영양분이 5가지 기초식품군에서 빠지는 영양가 없이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하루에 필요한 열량과 영양소를 식성과 연령에 맞게 세끼로 나누어 활력 있는 아침, 점심, 저녁식사가 되도록 반찬을 잘 안배한다 * 단백질식품과 채소류는 매일 먹게 한다 매일 식단 반찬에 빠뜨려서는 안될 것은 달걀요리와 생선이나 고기반찬, 그리고 채소나 감자 등을 이용한 음식이다 달걀은 아주 훌륭한 양질의 단백질식품으로 하루 한개씩만 먹어도 몸 속에서의.. 2020. 9. 30.
식품의 단위별 어림치 무게 * 조미료류 1큰술=3작은술 간장 1큰술-18g 된장 1큰술-18g 고추장 1큰술-15g 고춧가루 1컵-100g 식용유 1큰술-13g 참기름 1큰술-15g 깨소금 1큰술-6g 통깨 1큰술-6g 잣 1큰술-8g 땅콩 1큰술-10g 호두 큰것 1개-8g 마요네즈 1컵-200g 버터 1컵-220g 설탕 1컵-200g 토마토케첩 1큰술-15g * 채소류 가지 1개-80g 감자 1개-100g 고구마 1개-150g 당근 1개-100g 마늘 1통-30g 무 1개-800g 미나리 1단-200g 배추 1/2통-1kg 상추 1잎-5g 셀러리 1줄기-60g 송이버섯 1개-10g 싸리버섯 1개-15g 표고 날 것 1개-5g 시금치 1단-300g 양배추 큰잎 1장-50g 양파 1개-100g 오이 1개-100g 우엉 1대-80g.. 2020. 9. 30.
차례상 차림방법 ◇차례상 차리기=병풍은 북쪽에 두르고 상을 편 뒤 지방이나 사진 등 신위(神位)를 모신다. 남녀 어른의 사진을 놓을 경우 남자가 왼쪽, 여자가 오른쪽이다. 간혹 신위를 상위에 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옳지 않다. 신위는 무형의 조상을 대신하는 물건이다. 상위에 신위를 놓는 것은 조상더러 상위에 앉아 음식을 들라는 격이 된다. 촛대 역시 신위에서 거리를 둠으로써 음식을 드는 데 방해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차례상은 5열로 차리며 열마다 홀수로 배열한다. 생선과 고기는 어동육서(魚東肉西: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생선은 동두서미(東頭西尾: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의 원칙을 미리 알고 배치해야 한다. 과실은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기준에 맞춘다. 제주가 상을 바라보았을 때.. 2020. 9. 30.
한글날 유래 한글날은 한글창제 및 반포를 기념하는 날 입니다!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선양하기 위하여 지정된 날! 바로 한글날! 입니다. 한글의 유래 《세종실록》에 최만리가 훈민정음이 “고전(古篆)을 본땄다(倣)”라고 말한 기록이 있는데,[16][17] 이 말이 모호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고전’의 해석에는 한자의 전자체(篆字體)라는 설과 당시에 ‘몽고전자’(蒙古篆字)로도 불렸던 파스파 문자를 말하는 것이라는 설이 있다. 《환단고기》를 인정하는 사람은 이것이 가림토를 일컫는 말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본땄다’(倣)에 대해서도 그 생김새만이 닮았을 뿐이라는 풀이와 만드는 데에 참고를 했다, 또는 모두 본땄다 등의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1940년 《훈민정음》(해례본)이 발견되.. 2020.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