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6년 전화가 등장하자 전화 시설 이 갖춰진 도시는 이전과는 사뭇 다른 풍경을 보이게 되었다. 변
화의 핵심이란 바로 전화선이었으니, 도시의 하늘은 곧 전선으로 뒤덮였던 것이다. 도로 곳곳에 세워진
전봇대와 팽팽히 이어진 여러 전화선들은 어딘지 모르게 긴박감을 주기에 충분했다. 이것은 단순히 설
비가 늘어 난 것만을 의미하지 않았으며, 이 무렵 많은 사람들이 미래 사회의 문명을 예상하게 만드는
주요한 자극제가 되었다. 그런 예측 중에는 오늘날 놀랄 만큼 적중한 사례가 많았다. TV의 출현과 그로
인한 생활의 변화도 여기에 포함되었으며, 프랑스 화가 알베르 로비다는 특히 주목할 만한 예측을 했다.
그는 1883년에 출간한 <20세기>라는 책에서 '텔레스코프'를 그렸는데, '텔레스코프'란 이미 실용화한 전
화에 화면을 연결한 기계를 뜻했다. 즉 가입자가 다이얼을 돌려서 흥행중인 연극이나 극장의 쇼를 본다
는 상상이었다. 로비다는 또 하나 재미있는 예측을 했다. 언젠가는 서적 애호가 대신에 축음기 애호가가
등장할 것이며,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책은 필요 없게 되리라는 예상이었다. 다시 말해 독서를 원하는
사람은 책을 직접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종합 녹음 도서기'의 다이얼을 통해 소설, 철학, 역사서 따
위를 선택하고 편안히 누워 들을 수 있게 되리라는 것이었다. 지금의 현실을 감안하면 로비다의 예상은
부분적으로 빗나가기는 했지만 감탄이 나올 만큼 대체로 적중했다. 사람들은 TV를 통해 드라마를 보고,
오디오북을 통해 책을 읽는다. 그뿐이 아니다. PC 통신을 통해서 책을 읽는가 하면 자료를 구하기도 한
다. 이제 화상을 이용하지 않는 기기가 없고 종합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는 나라가 없는 게 현실인
것이다.
텔레비전에 대한 기계적 연구는 1880년대에 시작되었다. 먼 거리를 지나 영상을 전달한다는 생각이
전화기 발명 후 수년 내에 이루어졌던 것이다. 여러 나라의 기술자들이 밤낮 없이 노력한 덕에 1928년
미국에서 시험 방송이 이루어졌으며, 1930년대부터는 영국과 독일에서 정규 방송이 시작되었다. 바야흐
로 TV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그러나 TV가 각 가정에 필수품으로 자리잡기까지에는 좀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으며 몇 가지 이벤트가 촉매 역할을 하였다. 미국의 첫 텔레비전 상업 방송은 1939년 4월 30일
뉴욕 시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의 개막식 중계였다. NBC는 의욕적으로 행사 중계를 기획했으며 방송을
시작했다. 최초의 화면은 거대한 박람회 심벌 마크였다. 이어 박람회장을 찾는 군중들의 모습, 군사 퍼
레이드, 유명 인사들의 참관 모습 등을 보여 주었다. 이때 재미있는 일이 벌어졌다. 쇼맨십 강한 뉴욕
시장 피오렐로 라과디어가 행사장으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뜻밖에 카메라를 향해 다가온 것이었다. 당
황한 카메라맨은 그의 얼굴을 다양한 모습으로 계속 보여 주게 되었고 이 화면은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
다. 피오렐로 시장은 TV 카메라만 보면 손을 흔드는 '불청객'의 원조라고도 볼 수 있는 행위를 했던 것
이다. 어찌 됐든 그는 행사 기간 내내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보다 더 인기를 끌게 되었다. 박람회 중
계는 매우 성공적이어서 다음날 많은 백화점에는 NBC가 시범 설치한 수상기를 통해 버라이어티 쇼를
구경하거나 TV 수상기를 구입하려는 시민들로 붐볐다. 영국은 미국보다 먼저 정규 방송을 시작했지만
비싼 가격 때문인지 혹은 보수적 기질 때문인지 TV 구입자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영국도 이벤트 때문
에 변화하게 되었으니,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즉위식이 그 역할을 담당했다. 애초에 즉위식은 TV 중계
불가 소재였으나 여왕의 결단으로 방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당시 여왕의 즉위식이 세계적인 관심사였음
은 불문가지의 일. 따라서 현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방송으로나마 그 광경을 보기 위해 TV를
구입하기 시작했다. 1953년 6월 2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즉위식이 거행되었을 때 영국 전체 인구의
텔레비전 보유 대수는 2백 5십만 대에 불과했으나, 그 중 적어도 5십만 대는 행사가 있기 전 수 주일
동안 판매된 것이었다. 여왕의 즉위식은 전유럽 대륙의 절반에 걸쳐 방영된 동시에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에서 추후에 방영되기 위해 현장에서 녹화되었다. 여하튼 행사 당일과 행사 후 며칠 동안 대략 2
억 7천만 명이 즉위식을 시청한 것으로 추산된다. 그 뒤 1년 남짓한 기간에 텔레비전은 영국 대부분의
도시에 보급됨으로써, 가정의 필수품이 도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 무렵 미국 가정의 4천 7백만 세대가
TV를 보유함으로써 1950년대는 '본격적인 TV의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제 TV가 없으면 완
전한 가정이라고 보기 힘들게 되었으며, TV는 가장 인기 있는 휴식용 오락물로 자리매김했다. 어른 아
이 할 것 없이 저녁 식사 후 함께 거실에 앉아 TV를 시청하는 일이 하나의 관습처럼 유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근, 현대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천 년 전의 미스 유니버스 대회 (0) | 2020.08.28 |
---|---|
비키니가 우리에게 선사한 즐거움 (0) | 2020.08.28 |
뽀빠이는 왜 팔뚝에 문신을 새겼을까 (0) | 2020.08.28 |
미국의 상징물, 코카콜라 (0) | 2020.08.28 |
'각선미'와 나일론 스타킹 (0) | 2020.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