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엽, 미국 서부 지역에서는 결투가 반목과 이견 있는 사람 간에 결론을 내는 수
단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쌍방 간에 결투 장소와 시간, 무기를 협의한 뒤 약속된 시간에 참
관자 1명 씩을 대동하고 나타난다. 그런 뒤 서로 등을 마주 대고 일정 걸음을 걸은 다음
상대방을 향해 총을 쏘는 것이다. 대개의 경우 총을 반발만 쏘아 상대방을 쓰러뜨렸으며
확인 사살은 하지 않았다. 즉 '맞추는 자'가 승리한 자로 합의된 것이기 때문에 맞추는 데
의미가 있지 상대방을 살인하는 데 목적이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총상은 매우 치명적이었
던 까닭에 대부분의 패자는 목숨을 잃기 일쑤였다. 미국인의 결투는 17∼18세기 유럽에서
성행했던 귀족들 간의 1대1 승부, 혹은 18세기경 1대1 육상 경주에서 영향받은 것으로 여
겨진다. 17∼18세기경 유럽에서는 귀족들 간에 못마땅한 일이 있을 때 상대방에게 결투를
신청하여 1대1로 진검 승부를 가리는 일이 유행하였다. 하나님이 진실한 자의 편을 들어 줄
것이라고 믿었던 데서 생긴 풍경이었다. 그런가 하면 18세기 영국의 귀족 가문에서는 하인
중에서 선발한 선수끼리 1대1로 육상 경주를 벌이게 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당시 이 경주
에 참가하는 선수는 주로 마부 중에서 선발됐으며 주인의 마차 옆에서 함께 달리는 것으로
훈련을 대신 했다. 또 이 같은 1대1 경주에는 엄청난 액수의 돈이 걸렸으나 상금은 대부분
이긴 선수의 주인인 귀족들이 차지했다.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1대1 경주는 그 뒤 19
세기 들어 산업 혁명으로 도시화가 진척되자 대도시에서도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일반인들이
참가해 돈을 걸고 즐기는 도박성 대중 오락으로 발전했다. 그리고 이 풍습이 미국에서는 19
세기 초엽, 결투로 변형되어 유행한 것이다. 미국에서의 결투는 목숨 걸린 도박이었기에 '치
사함'을 가리지 않는 사람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빨리 정확하게 총을 쏘는 사람들이
승리하였다. 반칙해서 이긴 사람은 평생 '야비한 인간', '정의롭지 못한 사람'으로 손가락질
받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투에 지혜롭게 처신하는 것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었으며,
그런 점에서 앤드류 잭슨(1767∼1845)과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이 돋보였다. 잭슨은
대통령이 되기 직전 14회나 결투를 하여 승리했는데, 그는 상대방의 표적 초점을 흐리게 하
기 위하여 넓은 망토를 걸쳐 입고 나타나 모두 승리했다고 한다. 이에 비해 링컨은 총으로
결투하자는 상대방의 제안에, 자신의 큰 키를 감안하여 칼로 싸우자고 역제안함으로써 결
투 자체를 무산시켰다고 전한다.
'근, 현대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차 여행과 추리 소설 (0) | 2020.08.27 |
---|---|
오리 궁둥이 댄스 (0) | 2020.08.27 |
남사당의 비극 (0) | 2020.08.27 |
단발령과 초상 사진 붐 (0) | 2020.08.27 |
껌 팔아서 백만장자 된 사나이 (0) | 2020.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