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이 된 지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한 해가 지나고 2020년의 새해가 다가왔습니다. 새해의 첫날은 신정이라고 부르며 휴일로 지정되어 있는데요. 음력을 쇠던 우리나라에서 양력설로도 불리는 신정이 도입된 유래는 무엇이며, 언제부터 공휴일이 되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력 1월 1일, 양력설의 유래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아 음력달력을 날짜를 세는 기준으로 삼아왔습니다. 양력 1월 1일을 양력설로 삼게 된 것은 서구 문명이 들어오면서 태양력을 기준으로 한 달력도 함께 유입되었고, 전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기 위한 국가의 필요성에 의해 기존의 음력설을 대체하는 날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양력 1월 1일을 쇠는 양력설은 1886년 처음으로 도입되었습니다. 태양력을 도입하는 것은 당시로써도 매우 충격적이고 중요한 사건이었는데요. 당시 개혁을 추진 중이던 김홍집 내각에서도 태양력의 도입을 아주 중요하게 여기고, 조선 최초의 연호를 건양으로 정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태양력은 단발령과 함께 일본의 압력 아래 시행된 대표적인 제도로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는 양력설은 곧 일본설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전파되었습니다.
공휴일이 아니었던 음력설, '구정'
실제로 일제 강점기에는 음력설을 명절로 쇠지 않고 양력설만을 공휴일로 지정하였으며, 우리나라 전통의 음력설은 개인이 지내는 사적인 설로 폄하되었습니다. 일제 강점기가 끝나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양력설 중심으로 국가정책이 지속되었는데요. 1949년 공휴일 관련법이 제정되면서 양력설은 공휴일로 제정되었고, 1989년까지는 1월 1일 ~ 1월 3일을 양력설의 연휴로 정하여 쉬었습니다.
음력설이 공휴일이 된 이유?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들의 정서상 음력설이 공식적인 한국의 설날이라는 인식이 컸고, 양력설은 일본설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에 점차 음력설의 위상이 강화되고, 반대로 양력설은 지위가 내려가게 되었습니다. 1985년부터는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음력설이 공휴일화 되었고, 1990년에는 양력설과 음력설 모두 3일씩 쉬게 되었습니다. 1991년에는 양력설의 휴일이 이틀로 줄었고, 1999년부터는 현재와 같이 1월 1일 하루만 쉬게 되었습니다. 양력설의 이름도 신정이라는 표현 대신 ‘1월 1일’이나 ‘새해 첫날’이라는 명칭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새해 인사는 신정! 전통적인 세시풍속은 구정!
한국인들은 전통적인 세시풍속을 행하는 설날을 음력설로 인식하고 차례를 지내거나, 명절음식을 해먹고, 세배와 윷놀이 등의 놀이도 진행하였습니다. 한국에서의 양력설은 명절이라는 느낌은 거의 없고 새해를 시작한다는 의미의 날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매해 1월 1일을 공식적인 1년의 첫 번째 날로 여겨, 신년사나 덕담 등을 주고받으며, 각 기업과 관공서들도 신정이 지난 1월 2일을 업무의 시작일로 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마다 12월 말이면 서울 보신각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모여 한 해의 마지막을 함께 보내며 찾아오는 새해의 첫날을 서로 축하하는 자리를 가집니다. 보신각에서는 1953년부터 매해 마지막 날 타종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국의 해돋이 명소에서는 새해의 첫 일출을 보기 위해 사람들이 인산인해를 이루기도 합니다.
해외의 1월 1일은?
해외에서도 새해의 첫 날인 1월 1일을 모두가 함께 모여 즐기는 기념일로 삼고 축제를 즐깁니다. 미국은 New Year’s Day라는 명절로 삼고 있으며, 뉴욕의 타임스퀘어에는 수십만의 인파가 모여 새해의 카운트다운을 세는 이벤트를 열고 있습니다. 영국이나 프랑스 등의 서구권에서도 새해 첫날을 기념하며 불꽃놀이 등의 축제를 즐깁니다. 가까운 일본이나 중국 역시 1월 1일을 명절로 삼고 불꽃놀이를 즐기면서 가족과 시간을 보냅니다.
여러분은 새해의 첫날, 신정 계획은 잡으셨나요? 해돋이 명소를 찾아 새해의 첫 태양을 보며 가족, 연인과 덕담을 주고받고, 새로운 한 해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가지 차의 효능 (0) | 2021.01.01 |
---|---|
민간요법 13가지 (0) | 2021.01.01 |
[취업촉진수당] 2021년 1월1일부터 시행되는 “국민취업지원제도” (0) | 2020.12.31 |
방귀 자꾸 뀌는 사람들의 특징 10 (0) | 2020.12.30 |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면역력 강화식품 (0) | 2020.12.30 |
댓글